2014년 4월 16일 수요일

에코르네스 회사의 문제점

이 회사의 마케팅 전략은 정치인들, 돈 많은 사람들을 공략했다고 볼 수 있다. 루이비통이나 샤넬가방처럼 다른 가방과 겉모습은 별다를게 없지만 명품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가격이 천차만별 차이 나게 된다. 그래서 평범한 시민들은 의자를 사기 부담스러워 지게 된다. 만약 경쟁회사에서 더 좋은 물건을 출시 하였을 때 고객층이였던 돈 많은 사람들끼리 정보가 빠르기 때문에 소문을 듣고 돈을 따지지 않고 사기 때문에 다른 제품을 살 가능성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고객층을 이루지 못한 에코르네스회사는 밀리게 될 수 밖에 없다. 그리고 최고급 가죽을 사용하지만 의자의 사진을 몇장 봤지만 20,30,40대의 집안 분위기와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고, 50대~60대의 집안 분위기랑 어울리기 때문에 혼수 장만으로나, 젊은 사람들이 굳이 비싼 돈을 주고 그 의자를 꼭 사야만 하는 이유도 없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. 그 의자가 유명하고 편안함을 주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공장을 여러군데 세우지 않았다. 노르웨이 본사에서만 몇명의 사람들에게 높은 임금을 주고 최고급의 의자를 만들어 내지만 여기서 일하는 사람이 제한 되어있기 때문에 실업율을 만들어 낸다고 볼 수 있다. 또한 한국 사람이나 다른 나라의 사람들이 이 의자를 샀을 때 A/S와 관련해서도 원활하지 않을 것이고 본사에 보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 것 같다.

2014년 4월 14일 월요일

도덕과 윤리의 차이


1. 윤리- 윤리는 법보다는 조금 아래에 있는 개념이다. 사람으로서 마땅히 행동하거나 지켜야 할 도리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법으로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어느정도 제제력을 가질 수 있고 인간이 지켜야 할 최소 예의라고 할 수 있다. 윤리는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는 타자적인 구속이다. 구성원들 모두 어떤 행동을 할 때 옳은지, 옳지 않은지 생각함으로써 알 수 있다. 예를 들어 도둑질을 하면 안된다. 라는 생각이 머릿 속에 있으면 윤리적인 사람이라고 할 수있다. 중.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생각이 성숙해지며, 학습 으로 알게 되는 개념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.

2. 도덕- 사회는 개인 혼자서는 살아 갈 수 없기에 사회 구성원 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양심, 사회적 여론, 관습이다. 윤리를 포함해서 보다 더 넓은 개념이고 착하게 살아가며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이타적인 행동이다. 도덕은 자기 자신 스스로 판단을 할 줄 아는 자율적인 구속이다. 예를 들어 도둑질을 안 하는 사람은 도덕적인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. 사람들과 살아가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6학년 까지 후천적으로 경험을 통해 저절로 알 수 있게 되는 개념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.